본문 바로가기

건축하는 언니/설계 실무

[캐드 독학] 캐드 구름마크, 캐드 클라우드마크, 오토캐드 구름마크, 캐드 구름표시 간단하게 표시하는 방법, 캐드 기본기, 캐드 초보, 회사에서 맨날 혼나는 사람 드루와, 캐드 구름마킹

반응형

안녕하세요. 건축하는 언니입니다.

오늘은 도면에서 오류를 표시하거나 수정완료된 곳을 표기할 때 사용되는

구름마크에 대해서 포스팅해볼려고 해요.

 

 

 

구름마크를 적용할 도형

먼저, 위 사진처럼 구름마크를 적용할 도형을 그려볼거에요.

원, 사각형, 폴리선을 이용한 도형 이렇게 3가지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 원: 명령어 CIRCLE, 단축키 CI

- 사각형: 명령어 RECTANG, 단축키 REC

- 연속선: 명령어 PLINE, 단축키 PL

단축키를 사용해서 원하시는 곳에 도형을 그려줍니다.

 

 

 

구름마크를 적용한 도형
방향 반전 적용시

구름마크 명령어는 REVCLOUD, 단축키는 REVC에요.

처음에 접하면 좀 어려운 단축키에요. 

(단축키 수정을 하면 좀 편리한데, 조만간 포스팅해볼게요.)

REVC를 적고 스페이스바, 호 길이를 수정해줘야 해서 A를 적고 스페이스바,

원하시는 치수를 적고 다시 스페이스바 두번을 눌러주세요.

적용하고자 하는 객체를 선택해줘야해서 O를 적고 스페이스바를 누른 다음,

적용할 객체를 마우스로 선택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방향을 반전시킬건지 물어볼거에요.

저희는 안할거니까 아니요의 의미인 N을 눌러주고 스페이스바를 눌러주면 끝!

이때! 호 길이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다면 다시 실행하셔서 치수를 다시 적어주시면 돼요.

저는 처음에 1000을 했는데 너무 크더라구요. 500으로 다시 적어준 후에 객체에 적용시켰어요.

 

 

 

오늘도 간단한 내용으로 포스팅해봤어요.

여러분께 도움이 됬기를 바라면서,

다음 포스팅을 들고 올게요~

모두들

굿밤 :)

 

[All About 건축하는 언니]

* 인스타그램 ID: jeong._.nee (https://www.instagram.com/jeong._.nee/)

* 유튜브 ID: 졍니JeongNee (https://www.youtube.com/channel/UC--w04IDh6FKd_wf7WVU2_g/)
* 티스토리 블로그 ID: 건축하는 언니 (j-nee.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ID: 건축하는 언니 (https://blog.naver.com/kks0115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