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하는 언니/건축기사5

[건축기사 실기] 종합심사낙찰제도와 적격낙찰제도 차이점 다들 종합심사낙찰제도와 적격낙찰제도 헷갈렸을 거에요. 정리하자면 두단어 비슷한 맥락이지만 핵심내용은 종합심사낙찰 제도에는 사회적 책임점수를 포함한다는 내용이 꼭 들어가야 한다고 해요. * 종합심사낙찰 제도: 사회적 책임점수를 포함한 공사수행능력점수와 입찰금액점수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입찰자를 낙찰시키는 제도 * 적격낙찰 제도: 입찰에서 제시한 가격, 기술능력, 공사경험, 경영상태 등 계약수행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제도 2023. 6. 6.
[건축기사 실기] 입찰관련 용어정리(공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 특명입찰, 성능발주, 지역제한경쟁입찰, 부대입찰, 대안입찰) 1. 공개경쟁입찰: 입찰참가자를 공모하여 자격이 충족되는 자는 모두 참여기회를 주어 입찰하는 방식 * ‘공개경쟁입찰’ 순서를 골라서 나열: 입찰공고 → 현장설명 → 견적 → 입찰등록 → 입찰 → 낙찰 → 계약 2. 지명경쟁입찰: 건축주가 해당공사에 적격하다고 판단되는 여러개의 건설업체를 선정하여 입찰하는 방식 3. 특명입찰(수의계약): 건축주가 해당공사에 가장 적격하다고 판단되는 1개의 건설업체를 선정하여 입찰하는 방식 * ‘특명입찰’ 장점과 단점 2가지씩 장점: 양질의 시공 기대, 입찰 수속 간단, 공사기밀 유지 가능 단점: 공사비 증대, 시공자의 독선 우려, 공사금액의 불명확성 1. 성능발주: 발주 시 건축주는 요구성능만을 표시하고 시공자는 그에 맞는 시공방법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입찰.. 2023. 6. 6.
[건축기사 실기] 민간투자사업 계약방식 쉽게 외우는 방법 안녕하세요. '건축하는 언니'입니다. 블로그에 제가 공부하고 있는 건축기사 실기 내용을 정리해서 올려보려고 해요! 건축기사는 딥하게 공부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흐름을 익히면 빨리 합격한다고 하니 제가 쉽게 풀이해서 적어둘테니까 다 함께 열심히 공부합시다! 민간투자사업 계약방식에는 BOT, BTL, BTO, BOO, BLT 이렇게 5가지가 있어요. 알파벳 순서대로 밑에 정리한 내용을 연결하면 헷갈리지 않고 익힐 수 있답니다. B: 공공시설물을 민간부분이 투자하여 설계 시공 후 O: 일정기간동안 운영하며 투자금을 회수 L: 일정기간 시설물을 임대하여 투자금을 회수 T: 발주자에게 시설물 소유권을 이전 OO: 시설물의 운영과 함께 소유권도 민간에 이전되는 방식 * ‘BOT’와 유사한 방식 2가지: BTO, BOO 2023. 6. 5.
[건축기사 독학] 필기시험까지 D-75일, 건축기사 합격률, 인강안듣고 건축기사필기 합격하는 방법, 1차 합격 경험담, 필기 합격썰, 건축기사기출문제집, 건축기사필기과년도, 건축기사 1차 합격 안녕하세요. 건축하는 언니입니다. 건축기사 필기시험이 얼마남지 않았어요. 오늘부터 75일 남았는데요, 저번 포스팅에 보셨다시피 제가 2019년 필기시험에 통과한 적이 있어요. 실기시험을 안쳤지만요...ㅠ (못친건가?ㅎ) 다른사람들이 어떻게 공부했는지 잘 모르고 제 방법이 정답은 아니지만, 제가 인강을 안듣고 필기에 합격했거든요. 그 합격한 썰을 오늘 포스팅에 담아봤어요. 시작을 어떻게 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거라 생각이 들더라구요. 본인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찾아서 우리 모두 합격해봅시다~ ▶ 건축기사 합격률 위 사진에 내용을 보시면 최근 10년간 건축기사 합격률이에요. 10년동안 합격률이 25%~41.70% 사이정도 되네요. 10명중에 3~4명은 합격이라고 볼 수 있죠. 확실히 아무리 공부를 못해도 .. 2021.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