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꿀팁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 한전 에너지캐쉬백, kepco 에너지 캐시백

반응형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사업은 지난 2022년도부터 도입된 제도로 주택용 고객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서 에너지의 소비절약 의식을 끌어올리고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이며 동일지역 참여자와 비교하여 직전 1~2개년보다 올해 전기를 절약한 정도에 따라서 전기요금을 차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결국 전기를 많이 아끼면 그만큼 캐시백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지급기준도 자세하게 알 필요가 없고 1 kwh당 얼마가 지급되는구나의 정도만 아시면 됩니다. 그 이유는 해당사이트에서 캐시백을 얼마 받을 예정인지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저희가 꼭 알고 싶은 것은 캐시백 신청방법과 캐시백 지급방법입니다.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자격
    • 주택용/가정용 고객 중 신청주소지에 거주하는 것(=주민등록표상 구성원)이 확인된 사용자입니다. 
    • 참여 제외 고객: 신규 전기사용으로 직전 1개년의 동일월(=작년과 동일한 월)의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 고압아파트 개별세대 사용전력량의 정보를 미제출한 고객, 한전이 진행하는 에너지절약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고객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지급기준
    • 기본 캐시백: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 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해 줍니다. 단, 최대절감률 30% 한도로 지급됩니다.
    • 차등 캐시백: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30% 한도 내에서 절감률 구간별 1 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해 줍니다. 철감률이 5% 이상~10% 미만이면 1 kwh당 30원, 10% 이상~20% 미만이면 1 kwh당 50원, 20% 이상~30% 이하이면 1 kwh당 70원입니다.
    • 절감량(kwh) 계산방법: 과거 2개월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에서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을 뺀 값
    • 절감률(%) 계산방법: 해당기간 절감량에서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을 나눈 후 100을 곱한 값
    • 참여자 평균절감률: 동일지역참여자의 해당기간 절감량의 합계에서 동일지역참여자의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합계를 나눈 후 100을 곱한 값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하기

 

 

  • 포털사이트에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을 검색한 뒤 해당사이트(https://en-ter.co.kr/ec/main/main.do)에 들어갑니다.(사이트로 들어가기 힘드신 분들은 한전 고객센터 전화번호 123으로 문의하면 신청경로를 문자수신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상단 카테고리 중 참여관리에서 주민등록주소 확인을 클릭하여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 다음 과정인 캐시백가입정보입력에서 주민등록주소 확인해 주시고 에너지캐시백 참여완료를 클릭하시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결과 및 지급액 조회방법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사이트에 들어가셔서 로그인 후 상단 카테고리 중 캐시백지급에서 캐시백조회하기를 클릭해 주시면 신청결과 및 지급액 조회가 가능합니다.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지급방법
    •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되어 청구됩니다. (단, 2023년 07월분부터 매월 에너지 절감에 성공하신 고객을 대상으로 익월에 적용됩니다.)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적용시기
    • 한전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신청일이 속하는 월부터 적용됩니다.(단, 2023년 06월 07일부터 2023년 08월 31일 내에 신청한 고객의 캐시백은 2023년 07월분 사용량부터 적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