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하는 언니/설계 실무

[건축설계] 회사에서 맨날 혼나는 사람 드루와, 지적도 만들기, 캐드면적맞추기, 루리스, 루리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부지면적맞추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건축하는 언니'입니다. 저의 첫 회사는 몇백 명이 있는 중소기업이었어요. 연차가 많았고 복지도 좋았지만 한 개의 프로젝트를 5명이서 1년을 끌면서 일을 하다 보니까 항상 똑같은 일만 주어지고 붕 뜨는 시간이 많았어요. 그래서 2년을 다니고 회의감을 느껴 퇴사를 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저는 지금 작은 건축사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어요. 아홉시간 진짜 시간 가는 줄 몰라요. 몇 개월 안됐지만 혼나면서 배웠던 내용들을 쉽고 간단하게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회사에서 맨날 혼나는 사람 드루와,
소장님曰 '경상북도 경산시 계양동 220-1' 지적도 따와!
(단, 지적도 자료가 없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하세요, 정부24(PDF 자료)나 세움터 사이트(캐드 자료)에서 지적도 발급 가능합니다.)

1. 루리스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지적선, 지목, 면적, 지역.지구, 도로현황 이 4가지를 얻기 위해 주소를 조회할 거예요.

* '토지이용계획'에서 어떤 내용을 열람할 수 있어요? - 면적, 공시지가, 지역.지구 지정현황, 확인도면, 행위제한내용

* 순서: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 - 토지이용계획 - 주소로찾기 - 열람




2. 지적도 개요에 넣을 4가지 내용을 추려냈어요.
- 지목: *유
- *공부면적: 227㎡
- 지역.지구: 제1종일반주거지역, 가축사육제한구역, 상대보호구역, 비행안전제3구역(전술)
- *지적선: 축척을 이용해 부지를 적당히 확대시켜서 PDF파일로 저장

* 왜 '유'라고 써요? - 도면에서는 지목을 한 글자로 줄여서 표현해요. 유지->유
* '공부면적'이 뭐에요? - 등기부 등본, 토지 대장, 건축물대장 등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작성ㆍ비치하는 공부에 기재된 면적
* '지적선': 세움터, 정부24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 순서: 축척 500으로 변경 - 인쇄 - 부분인쇄 - PDF - 인쇄




3. PDF파일을 JPG파일로 변환시켜주고 CAD를 열어주세요. (변환 프로그램이나 변환 사이트가 잘 나와있기 때문에 이 과정은 생략할게요.)



4. 선따기
- CAD를 켜고 파일참조명령어 'XREF', 이미지 부착을 클릭해서 이미지를 불러오세요.
또는 JPG파일을 캐드화면에 드래그해서 클릭후 0을 누르고 엔터를 쳐주세요.
- 축척이 500이니까 스케일을 500으로 키워주세요.
- 선을 선명하게 보이도록, 검정배경과 색이 비슷해지도록 페이드 값 70으로 설정해주세요.
- 선명령어'PLINE'으로 부지 주변 지적선을 따줍니다.

* 부지(흰색선), 도로(빨간선), 주변필지(파란선)




5. 임의로 딴 흰색선의 부지 캐드면적(237.2961587051㎡)을 공부면적(227㎡)으로 수정하기 위해 스케일 변경을 해줘야 해요.
- 전체 지적선 선택 -> 스케일명령어'SCALE' 엔터 -> √(공부면적÷캐드면적) = 227㎡

* 'Ctrl+1'을 누르면 선에 대한 특성창이 나와요. 여기서 면적을 알 수 있어요. 캐드는 1M가 1000으로 표현되니까 ㎡로 확인하려면 점을 6자리 앞당겨 와야겠죠. 또 다른 방법으로는 리습으로 면적을 쉽게 딸 수 있는데 그건 다음에 포스팅하겠습니다.




여러분들! 잘 따라하셔서 면적 227㎡이 잘 나오던가요?! 결론적으로 지적도에서 제일 중요한 핵심은 대지에 대한 방위표 방향, 공부면적과 동일한 지적선 면적, 지역/지구가 뭔지, 지목이 뭔지, 계획도로 및 현황도로가 해당 대지의 어디에 접해있고, 폭이 얼마인지... 이 것만 판단할 수 있어도 작업 90% 한거에요.

이 포스팅을 보고 이해안가는 부분있으면 댓글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All About 건축하는 언니]

* 인스타그램 ID: jeong._.nee (https://www.instagram.com/jeong._.nee/)

* 유튜브 ID: 졍니JeongNee (https://www.youtube.com/channel/UC--w04IDh6FKd_wf7WVU2_g/)

* 티스토리 블로그 ID: 건축하는 언니 (j-nee.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ID: 건축하는 언니 (https://blog.naver.com/kks01154/)

반응형